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주택청약 해지 방법
주택청약종합저축은 가입한 은행에서 직접 해지해야 하며, 온라인 해지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.
🔹 해지 방법 2가지
1️⃣ 방문 해지 (은행 창구)
2️⃣ 온라인 해지 (해당 은행 앱 또는 인터넷뱅킹)
📍 주택청약을 가입한 은행이 어디인지 확인 후, 해당 은행에서 해지 진행하면 됩니다.
은행 방문해서 해지하는 방법
✔ 가입한 은행의 영업점 방문
✔ 필요 서류 지참 (아래 참고)
✔ 창구에서 "주택청약 해지하러 왔다"라고 말하면 안내해 줍니다.
✔ 본인 확인 후 즉시 해지 가능 (해지 당일 해지 금액 입금)
📌 필요 서류:
✅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중 하나)
✅ 본인 명의의 은행 계좌번호 (해지 후 돌려받을 계좌)
온라인에서 해지하는 방법
요즘은 대부분 은행에서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으로 해지가 가능합니다.
✔ 가입한 은행의 인터넷뱅킹 또는 모바일 앱 접속
✔ ‘청약’ 또는 ‘예·적금’ 메뉴에서 해지 신청
✔ 본인 인증 후 해지 진행 (바로 계좌로 입금)
✅ 은행별 온라인 해지 가능 여부 확인 필수!
은행마다 온라인 해지가 가능한 곳과 직접 방문해야 하는 곳이 다를 수 있으니, 본인이 가입한 은행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주의할 점
1️⃣ 해지 후 재가입 시 신규 청약 통장으로 인정됨
- 기존 가입 기간이 초기화되므로, 나중에 다시 가입해도 가입 연수가 0부터 시작됩니다.
- 특히 청약 가점제(무주택 기간, 가입 기간 점수 등)를 고려하는 경우 신중히 결정하세요.
2️⃣ 해지 후 다시 가입하려면 2년 제한 없음
- 예전에는 해지 후 2년 동안 재가입이 안 됐지만, 현재는 바로 재가입 가능합니다.
3️⃣ 해지 후 원금 + 이자 지급
- 해지하면 그동안 적립된 원금과 은행 이자가 지급됩니다.
- 하지만 12년 동안 납입하지 않았다면 이자는 거의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.
마무리
✔ 가입한 은행에서 해지 가능 (방문 or 온라인 해지 가능 여부 확인)
✔ 신분증과 본인 명의 계좌 준비
✔ 해지 후 청약 가입 기간이 초기화되므로 신중히 결정
반응형